<

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한국의 비상장 기업이 캐나다 증권거래소(TSX, TSX-V, CSE, NEO)에 상장하려면 다양한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본 가이드는 캐나다 상장의 주요 프로세스, 필요 네트워크, 상장 요건, 시장 비교 및 한국 스타트업의 성공 사례를 다룹니다.

    ✅ 캐나다 상장을 위한 기본 준비 사항

    • 📌 법적 구조 정비: 캐나다 법인 설립 또는 해외 법인 유지 결정
    • 📌 감사 및 회계: IFRS 기준에 따른 재무제표 준비
    • 📌 상장 전략: IPO, RTO(역합병), CPC 방식 중 선택
    • 📌 IR 및 투자자 모집: 초기 투자자 및 기관 네트워크 확보
    • 📌 거래소 선택: TSX, TSX-V, CSE, NEO 중 적절한 시장 분석
    • 📌 법률 및 규제 준수: 증권법, 공시의무, 인사 관리

    📌 캐나다 상장에 필요한 현지 네트워크

    필수 네트워크 역할
    증권 변호사 상장 절차 법률 자문, 계약 작성
    감사 법인 IFRS 기준 감사보고서 제공
    증권사 (Underwriter) IPO 주관, 투자자 모집
    IR 및 PR 대행사 기업 홍보 및 투자자 관리
    캐나다 현지 이사진 거래소 규정에 맞는 이사회 구성

    📊 IPO 시장별 비교

    구분 TSX TSX-V CSE NEO
    최소 시가총액 7,500만 CAD 이상 1000만 CAD 이상 제한 없음 5000만 CAD 이상
    상장 비용 100만 CAD 이상 50만 CAD 이상 20만 CAD 이상 50만 CAD 이상
    상장 기간 12~18개월 6~12개월 3~6개월 6~12개월
    적합한 기업 대형 기업, 안정적 수익 중소형 성장 기업 스타트업, 혁신기업 기술, 핀테크 기업

    📌 한국 기업의 캐나다 상장 사례

    • 📌 네오리진 (Neo-Legend): CSE 상장, 블록체인 기술 기반 기업
    • 📌 셀리드 (Cellid): TSX-V 상장, 바이오 테크놀로지
    • 📌 라온테크 (Raontech): TSX-V 상장, 반도체 관련 기업
    • 📌 웰킵스 (Wellkeeps): CSE 상장, 의료기기 제조사
    • 📌 퓨처이노베이션 (Future Innovation): TSX-V 상장, AI 기반 기업

    📢 한국 기업의 캐나다 상장: 사례와 분석

    최근 몇 년간 한국 기업들의 캐나다 증권거래소 상장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상장 기업의 조건, 상장 후 성과, 향후 전망, 그리고 시가총액 변화를 분석합니다.

    📌 한국 기업의 캐나다 상장 사례

    • 📌 씨어스(CUS Co., Ltd.): 전기차 충전기 전문 기업인 씨어스는 2024년 1월 캐나다 증권거래소 상장을 위한 절차를 진행 중입니다. CPC(Capital Pool Company) 우회상장을 통해 북미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0]{index=0}
    • 📌 스타넥스(Stanex): 항공기 블랙박스와 고성능 무선통신 기술을 보유한 스타넥스는 2025년 캐나다 증권거래소(CSE) 상장을 추진하며, 북미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1]{index=1}

    📌 캐나다 증권거래소 상장 절차 및 요건

    캐나다 증권거래소 상장은 기업의 규모, 재무 상태, 성장 가능성 등에 따라 다양한 절차와 요건이 있습니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CPC 제도를 활용한 우회상장이 일반적입니다. CPC는 기업 인수를 목적으로 설립된 명목회사를 통해 상장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비교적 낮은 비용과 간소화된 절차로 상장이 가능합니다. 

     

    반응형